어떤 시련도 꺾지 못한 ‘한옥 사랑’

북촌 지킴이 킬번·최금옥 부부, 실명·암투병에도 “끝까지 보존”

Bookmark and Share

한옥의 매력에 빠진 한 영국인이 ‘한옥 지킴이’ 활동 중 시공업자에게 떠밀리면서 실명한 것으로 뒤늦게 밝혀져 주위를 안타깝게 하고 있다.

Jade Kilburn
30일 서울 ‘북촌 한옥 마을’을 찾은 제이드 킬번. /남호진기자

주 인공은 영국인 데이비드 킬번(66)과 한국인 부인 제이드 킬번(54·한국명 최금옥). 이들 부부는 서울 종로구 가회동의 ‘북촌 한옥마을’에서 한옥 보존을 위해 열심히 활동해 ‘한옥 지킴이’로 익히 알려져 있다. 일본 경제 전문기자로 일해온 데이비드와 제이드 부부는 결혼한 이듬해인 1988년부터 이곳에서 살고 있다. 이들 부부의 집은 김기덕 감독의 영화 <빈집>의 무대가 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들 부부의 행복한 한옥 생활은 2001년 서울시가 북촌 개발에 나서면서 위협받기 시작했다. 집값이 갑자기 오르면서 외지인들이 투기용으로 한옥을 사들였다. 앞다퉈 집을 고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와 철근으로 만든 겉모양만 한옥인 집들이 늘기 시작했다.

전통 한옥이 사라지는 것을 안타깝게 여긴 부부는 이때부터 한옥 지킴이를 자처했다. 서울시와 종로구청 등에 민원을 제기하는가 하면 카메라로 불법 공사 현장을 촬영해 자신들의 홈페이지를 통해 고발했다.

그러던 중 뜻하지 않은 불행이 닥쳤다. 2006년 2월 무단 공사 현장을 촬영하던 데이비드가 시공업자에게 떠밀려 넘어지면서 의식을 잃은 것이다. 게다가 그해 연말 치료차 영국에 가있는 데이비드에게 시공업자에 의해 폭행상해 혐의로 고소돼 유죄가 인정됐으니 벌금을 내라는 통보가 날아들었다. 데이비드는 그 충격으로 시력을 잃고 말았다.

부부는 이후 재판을 통해 명예회복에 나섰지만 불행은 끝나지 않았다. 끊이지 않는 근처 한옥들의 증·개축 공사 소음과 먼지, 이웃들의 따돌림에 시달리던 제이드의 친정어머니가 지난해 7월 타계했다. 제이드까지 자궁암에 걸렸다.

하지만 이런 불행도 부부의 한옥 사랑을 꺾지는 못했다. 제이드는 “남편이 나를 만나지 않았으면 실명하는 일도 없고 어머니가 저렇게 돌아가시지도 않았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어 무척 괴로웠다”면서도 “끝까지 한옥을 지킬 것”이라고 말했다.

<김기범기자 holjjak@kyunghyang.com>
ⓒ 경향신문 & 경향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통미는 오간데 없고, 콘크리트로 졸속 개조
외지인들 투기 바람에, 빈집 절반 밤엔 을씨년
수십년 간의 도심 개발 과정에서도 실 거주 공간으로서 전통한옥을 보존해왔던 '북촌 한옥마을'이 사람들이 살지 않는 '빈 껍데기 마을'로 변하고 있다. 2001년부터 시작된 북촌 개발 사업으로 외지인들이 한옥을 대거 사들이면서 평소에는 텅 비어 있는, '강남 부자들의 별장촌'으로 전락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동안 서울시 지원금을 받고 진행된 한옥 개ㆍ보수 공사도 지붕만 기왓장을 얹고 내부는 '콘크리트 양옥'으로 바꾸는'무늬만 한옥'인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전통 보존이라는 취지에 어긋난다는 지적이 거세다.

한국일보가 23일부터 30일까지 북촌마을 한옥특별관리구역 중에서 한옥비율(95%)이 가장 높아 최고등급인 'S1'으로 분류된 가회동 31번지를 직접 조사한 결과, 공방이나 갤러리, 양옥 등을 제외한 거주용 한옥 71채 중 30%(20채)가 사람이 살지 않는 '빈집'이었다.

이는 2000년대 들어 외지인들이 거주 외의 목적으로 집을 대거 사들였기 때문이다. 이 지역 등기부등본을 조사한 결과, 2000년 이후 소유주가 바뀐 집이 45곳이었고, 이 중 소유자의 실 거주지가 다른 집이 전체 71채 중 절반에 가까운 32채나 됐다.

이들은 이곳 한옥을 비워놓고 실제로는 강남ㆍ서초ㆍ송파구나 용산구 한남동ㆍ이태원동 등 부촌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거나, 해외에 살고 있는 경우도 있었다.


한 마을 주민은 "아이들이 뛰놀고 주민들이 두런두런 얘기를 나누던 곳이었던 북촌 마을이 이젠 낮에는 관광객들만 보이고, 밤에는 아예 인적이 끊겨 혼자 다니기 무서운 곳이 됐다"며 "외지인들이 투기 목적으로 사들인 덕에 집 값은 많이 뛰긴 했다"고 말했다.

이 같은 외지인들의 매매 속에서 정부 지원금으로 진행된 한옥 개ㆍ보수 공사 상당수가 지하층을 만든다는 구실로 실제로는 1층을 콘크리트 구조물(양옥)로 바꾼 '가짜 한옥 공사'인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시는 2001년부터 전통한옥 양식을 유지하면서 개ㆍ보수를 허용한 '한옥 수선기준'을 만들어 가구당 수천만원을 지원해왔으나 대부분 기준을 어기거나 편법으로 개ㆍ보수했다는 것이다.

이 지역 주민들과 부동산 관계자들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지하층으로 신고하고 실제로는 1층 건물로 만든 경우가 태반"이라며 "외양만 그럴싸한 한옥이 됐다"고 말했다. 이곳 한옥의 외관으로만 봤을 때도 담장높이나 정문 및 지붕 양식이 '서울시 한옥수선 기준'에 맞지 않는 경우가 9건이나 확인됐다.

북촌 전통한옥을 지키기 위해 싸워온 데이비드 킬번씨 가족의 사연(본보 10월31일자 8면)도 이 같은 북촌 개발과정에서 벌어진 일이었다.

북촌연구가인 홍성태 상지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는 "북촌에서 전통한옥은 거의 없고 공동체적 생활주거공간도 완전히 망가졌다"며 "겉만 그럴싸하게 꾸며봐야 관광객에게조차 감흥을 주지 못하므로 전통한옥과 그 속의 삶을 함께 보존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문준모기자
박민식기자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10302312305&code=940100&area=nnb2

Contact Us

http://www.kahoidong.com

 

1988년부터 한옥에서 살아온 나의 한옥 사랑이 이웹싸이트의 계기가 되었다. 현재는 공익을 도모하기 위해 발전해 나가고 있다. 공익을 위하여, 우리는 서울시에 남아있는 전통 가옥인 한옥을 보호하는 데에 생겨나는 문제점들에 대한 문서, 수필, 의견 또 사진들을 발표하고 있다. 현재 한국의 하회마을과 양동, 이 두 한옥 마을이 유네스코로부터 세계문화유산 지정지로 인정을 받으면서, 전통한옥은 전 세계의 관심사가 되고있다. 우리는 이 웹사이트를 통해 독자들에게 한옥이 어떻게, 왜? 계속 파괴되어지는지, 누가 그 책임을 지고 있는지 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며 또한 어떠한 조취가 취해져야 하는지에 대한 의견을 조성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아울러 이 웹사이트가 사라지는 서울의 한옥 문화유산의 보호를 돕기 위해 우리 개개인이 무엇을 할 수 있을지 스스로 생각하고 결정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이다. David Kilburn